본문 바로가기

인문_경상계열 자격증

손해평가사 주요 업무와 향후 전망

손해평가사란?

손해평가사는 자연재해나 기타 사고로 인해 발생한 손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보상 여부를 결정하는 전문가입니다. 주로 농작물, 건물, 차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보험회사, 정부 기관, 민간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중요한 직업군입니다.

손해평가사의 역할은 공정하고 정확한 피해 평가를 통해 보험 계약자와 보험사 간의 분쟁을 줄이고, 신속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손해평가사의 주요 업무

손해평가사는 다양한 재해 및 사고로 인한 피해를 조사하고 평가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피해 조사
    • 사고 현장을 방문하여 피해 상태를 면밀히 조사합니다.
    • 사진 촬영 및 기록을 통해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합니다.
  2. 손해 평가 및 보고서 작성
    • 피해 규모를 분석하고 손해액을 산정합니다.
    •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손해평가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3. 보험 청구 및 보상 협의
    • 보험 가입자가 손해 배상을 원활히 받을 수 있도록 보험사와 협의합니다.
    • 보험 계약과 보상 규정에 맞춰 적정한 보상 금액을 결정합니다.
  4. 법률 및 규정 준수
    • 관련 법규와 보험 약관을 준수하여 공정한 평가를 수행합니다.
    • 정부 기관과 협력하여 보상 정책을 검토하고 조정할 수 있습니다.

손해평가사 시험 합격률 통계

손해평가사 시험은 1차와 2차 시험으로 나누어지며, 다음은 최근 1차 및 2차 시험의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통계입니다.

1차 시험 합격률

연도응시자 수합격자 수합격률

2019 3,901 2,486 63.73%
2020 8,193 5,748 70.16%
2021 13,230 9,508 71.87%
2022 13,361 9,067 67.86%
2023 14,107 10,830 76.77%

1차 시험의 평균 합격률은 70%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2차 시험 합격률

연도 응시자 수 합격자 수 합격률
2019 2,712 153 5.6%
2020 4,937 566 11.5%
2021 8,699 2,233 25.6%
2022 9,016 1,017 11.2%
2023 9,977 1,390 13.9%

2차 시험의 합격률은 대체로 20% 미만으로, 1차 시험보다 높은 난이도를 보입니다.

연령별 합격자 수 (2023년 기준)

연령대 합격자 수
10대 1명
20대 206명
30대 546명
40대 1,967명
50대 5,310명
60대 이상 2,700명

50대와 60대 이상 합격자가 전체의 약 74%를 차지하여, 중장년층의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성별 합격자 수 (2023년 기준)

성별 합격자 수
남성 8,055명
여성 2,775명

남성 합격자의 비율이 여성보다 약 3배 높은 경향을 보입니다.


손해평가사의 전망과 연봉

손해평가사는 특히 농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가 증가하면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농업재해보험과 같은 정부 지원 제도의 확대와 함께 손해평가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연봉은 경력과 소속 기관에 따라 다르지만, 초급 손해평가사의 평균 연봉은 약 4,000만 원 수준이며, 경력이 쌓이면 6,000만 원 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경우 건당 수수료를 받으며 높은 수익을 올릴 수도 있습니다.


마무리

손해평가사는 공정하고 신속한 손해 평가를 통해 보험 보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직업입니다. 특히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는 현대 사회에서 그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손해평가사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한다면 철저한 준비와 꾸준한 학습이 필요합니다. 시험 준비부터 실무 경험까지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차근차근 도전해 보시길 바랍니다.